Surprise Me!

[여랑야랑]추미애 탄핵 찬성한 ‘범인’을 찾아라 / 태영호는 변절자?

2020-07-24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동은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게요. '이탈표를 찾아라', 어제 추미애 법무부장관 탄핵소추안이 부결됐는데, 그 표결 결과를 두고 오늘까지 뒷말이 나옵니다. <br><br>어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SNS에 글을 올렸는데요. <br> <br>미래통합당, 야권 진영 무소속을 합치면 110명인데 찬성은 109명이었다며 찬성을 안 찍은 범인 1명은 <br>누구냐고 물었습니다.<br> <br>Q. 이름을 밝히지 않는 무기명투표라 단정할 수는 없지만, 보수 야권에서 한 명이 찬성을 안 했다는 거죠? <br><br>정청래 의원 계산대로라면 범야권 중 한 명이 이탈표를 던진 셈이 되는 거죠.<br> <br>그런데 진중권 전 교수가 바보 아니냐고 꼬집었습니다. <br> <br>변수가 하나 있었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어제 범야권 110명 중 3명이 투표에 불참했습니다. 110명이 아니라 107명이었던 거죠. <br> <br>그런데 109명이 찬성했으니 2표는 범야권 표가 아닌 겁니다.<br> <br>Q. 그러니까 이탈표가 야권이 아니라 여권에서 나왔다는 거네요. 그럼 이제 여당에 물을 차례인가요. 범인은 누구냐. <br><br>누가 찬성표를 던졌는지 알 수는 없습니다. <br> <br>다만 추 장관이 여당 의원들과도 날선 공방을 주고받기도 했습니다. <br><br>[송기헌]<br>"장관님 같은 분들도 검사들하고 같이 일을 하게 되면 검사들에게 순치되어가는 게 아닌가. 제가 지나친 얘기일까요?"<br><br>[추미애]<br>"네. 지나치다고 생각합니다."<br><br>[추미애]<br>"'아, 조금 있다가 장관 열심히 흔들면 저 자리 내 자리 되겠지' 하고 장관만 바라보시고 야당 역할을 하시면 안 되고…"<br> <br>송 의원이 찬성표를 던졌다는 취지는 아님을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. <br> <br>Q. 그런데 국회의원은 한 명 한 명이 헌법기관인데, 누가 이탈표를 던졌는지 꼭 찾아야 합니까? <br><br>저도 찾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데요. 정치인들은 생각이 다른가 봅니다. <br> <br>통합당 역시 민주당을 향해 이탈표가 나왔다며 균열이 시작됐다, 이렇게 공세를 펴는데요. <br> <br>숫자를 세고 있을 시간에 국민을 위하는 일이 무엇인지 더 고민하는게 어떨까 싶습니다. <br> 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이인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보고서가 결국 민주당 단독으로 채택됐는데요. 어제 청문회에서 이 후보자와 뜨거운 '주체사상' 공방을 벌인 태영호 의원을 향한 여당의 공세 계속됐지요? <br><br>네, 청와대 행정관 출신의 문정복 민주당 의원은 <br> <br>"태영호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을 조선 선조에 비교했다"며 "변절자의 발악으로 보였다"고 비판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태 의원은 실제 이런 말을 하지 않았거든요. <br> <br>문 의원이 잘못 알고 '변절자'라고 비판했다가 뒤늦게 해당 글을 삭제했습니다. <br> <br>Q. 변절자는 주로 북한에서 탈북자를 비판할 때 쓰는 말이잖아요. 예전에 '통일의 꽃'으로 불리고 북한에도 갔었던 임수경 전 의원이 '변절자'라는 표현을 썼던 기억이 나네요. <br><br>네, 8년 전 임수경 당시 민주통합당 의원은 탈북자들과 우연히 시비가 붙자, <br> <br>"근본도 없는 탈북자 OO들, 하태경하고 북한인권인지 뭔지 하는 이상한 짓 하고 있다지. 변절자 OO" 이렇게 폭언을 했습니다. <br> <br>Q. 논란이 되자 당시에 임 의원은 탈북자한테 한 게 아니다. 하태경 의원이 학생운동을 같이 하다가 새누리당으로 가서 변절자라고 한 거라고 해명했었죠. <br><br>네, 당시 당대표 선거에 나온 이해찬 대표는 이 문제를 앵커가 계속 물어보자 인터뷰를 일방적으로 중단하기까지 했습니다. <br> <br>자유를 찾아 목숨을 걸고 남한으로 온 탈북자들에게 '변절자'라는 표현은 대단히 부적절해 보입니다. <br> <br>Q. "이번 국회는 다를까" 했는데, 싸움으로 일관하는 21대 국회도 점점 기대가 옅어집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